김정원의 아름다운 당신에게

음악FM 매일 09:00-11:00 (재) 매일 02:00-04:00
5/7(일) 선곡표
아름다운당신에게
2006.05.05
조회 290
1부
1.Dell' amore non si sa 그대가 알지 못하는 사랑 - Hayley Westenra & Adreas Boccelli (3:42)

2.헨델 / Passacaglia - Scott Ross (hpd) (4:42)


3.토스티 / Ideale '이상‘ - 호세 카레라스

4.바그너 / 탄호이저 서곡 - Klaus Tennstedt 지휘 베를린 필하모닉 (15:27)

5.Siboney - Placido Domingo

6.보케리니 / 첼로협주곡 2번 D 장조 중 3악장 알레그로 -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첼) , 파울 자허 지휘 취리히 콜레기움 무지쿰 오케스트라 (4:48)

7.Estrellita - Alfredo Kraus (4:03)

8. 비제 / 아를르의 여인 모음곡 1번 중 프렐루드 - 카라얀 지휘 베를린 필하모닉 (6:52)


2부

1.Sing sing sing - 자비네 마이어, 볼프강 마이어(클라리넷)

Chord + 클래식 까페 + Chord
음악칼럼니스트 이준형씨 출연

2. 헨리 퍼셀 (1659~1695)
<체칠리아의 날을 위한 송가> 중 마지막 합창곡
‘빛나는 체칠리아에게 찬사를!(Hail, bright Cecilia, hail to thee!)’
폴 매크리시, 지휘 / 가브리엘리 콘소트 & 플레이어즈
(13번 트랙, 3:41)

3.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1756~1791)
피아노 소나타 A장조 K.331 중 3악장 ‘터키 행진곡(Alla turca. Allegretto)’
안드레아스 슈타이어, 포르테피아노(안톤 발터 피아노 카피)
(6번 트랙, 3:38)
* 역사적 연주관습의 적용, 그리고 즉흥적이고 다채로웠다고 전해지는 모차르트의 연주에 영감을 얻어 악보를 보다 자유롭게 해석하는 자유로운 연주
* 시대악기(포르테피아노)의 독특한 음색과 특징

4. 조지 프레데릭 헨델 (1685~1759)
세레나타 <아치스와 갈라테아(Acis and Galatea)>중
폴리페무스의 아리아 ‘체리보다 더 붉은(O ruddier than the cherry)’
윌러드 화이트, 바리톤 / 존 엘리어트 가디너, 지휘 / 잉글리시 바로크 솔로이스츠
(3번 트랙, 3:08)
* 바로크 시대 오페라 극장의 화려함
* 헨델이 거느렸던 당대 최고의 이탈리아 오페라 가수들(세네시노, 보슈, 카레스티니, 몬타냐나, 쿠초니, 파우스티나 등등)과 그에 얽힌 일화들

5. 작자미상(16세기 이탈리아)
‘시간이 끝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그대는 얼마나 어리석은가(Homo fugit velut umbra)’
일명 ‘삶의 파사칼리아’
크리스티나 플루하르, 지휘 / 르 아르페지아타
(1번 트랙, 4:13)
* 바로크 초기 이탈리아 남부의 민속음악과 ‘최신음악’의 기법이 교묘하게 엮인 구성
* 민속음악의 요소를 과감하게 도입한 해석으로 매우 현대적이고 신선하게 들리는 연주

6. 안토니오 비발디 (1678~1741)
네 대의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협주곡 RV 580 중 1악장 Allegro
빅토리아 뮬로바, 바이올린 / 일 지아르디노 아르모니코
(4번 트랙, 3:38)
* 시대악기와 현대악기를 오가며 활발하게 활동하는 일군의 연주자들(뮬로바, 벵게로프, 요요마, 비스펠베이 등등)
* 상호보완적이고 서로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 현대악기/시대악기 진영의 융화

7.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1685~1750)
칸타타 56번 <나 기꺼이 십자가를 지겠노라(Ich will den Kreuzstab gerne tragen)>중
레치타티보 ‘세상에서 내 순례는 항해와도 같다네(Mein Wandel auf der Welf)’
마지막 코랄 ‘오라, 죽음, 잠의 형제여(Komm, o Tod, du Schlafes Bruder)’
도미니크 뵈르너, 바리톤
지기스발트 쿠이켄, 지휘 / 라 프티트 방드
(14번, 17번 트랙, 2:13-1:32)
* 현대 바흐 연주의 화두인 최소편성 이론
* 시대악기 연주의 화두는 언제나 바흐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악기 ‘비올라 다 스팔라’

8. 장-필립 라모 (1683~1764)
서정비극 <이폴리테와 아리시(Hippolyte et Aricie)> 제 2막 중
플뤼통의 노래 ‘모든 지하세계는 내 분노에 대비하라’-‘너, 미래의 어둠을 헤쳐나가려는 자여’ 및 운명의 세 신의 삼중창
나탄 베르크, 베이스
윌리엄 크리스티, 지휘 / 레자르 플로리상
(3번, 10번 트랙, 2:16-4:21)
* 라모의 오페라 데뷔작 <이폴리테와 아리시>
* 이탈리아와는 다른 프랑스 오페라의 독특한 아름다움
* 베이스 배역을 중시했던 라모의 가장 대표적인 오페라 장면 중 하나

9. Suo gan - Ambrosian Singers

10. Volare - Quartetto Gelato